[뉴스포커스] 여야, 13일간의 치열했던 선거 레이스 마무리<br /><br /><br />서울과 부산시장 재, 보궐 선거 투표가 오늘 오전 6시 일제히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남은 건 유권자의 선택입니다.<br /><br />두 후보는 저마다 승리를 자신하며 어제 마지막 유세를 마무리했는데요.<br /><br />김성완 시사평론가, 이상일 전 국회의원과 함께 이번 재·보궐 선거 전망해 봅니다.<br /><br />두 분, 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서울과 부산 시장의 부재로 시작된 이번 재·보궐 선거, 13일간의 레이스가 모두 마무리됐습니다. 짧은 기간이었지만, 그 어느 때보다 네거티브가 난무하며, 국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준 선거였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먼저 두 분, 짧게 이번 재·보궐 선거 레이스, 총평해 주신다면요.<br /><br /> 남은 건 이제 유권자의 선택입니다. 여야는 저마다 승리를 예측하고 있는데요. 이낙연 위원장은 이른바 '샤이 진보' 지지층이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며 '3%P 내외의 박빙 승부'를 예상했고요. 주호영 원내대표는 그동안 여론조사를 볼 때 "최소한 15%P 이상 격차로 이길 것"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두 분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투표율에 따라 여야 승패가 갈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50%를 기준으로 여야 셈법이 다르다고요? 두 분은 오늘 투표율, 어느 정도 수준으로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두 후보, 마지막까지 한 표라도 더 모으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었는데요. 박영선 후보는 이른바 노회찬 버스로 불리는 '6411번' 버스를 타고 자신의 지역구였던 구로구를 시작으로 종로, 서대문구 등을 돌며 새벽부터 18시간 강행군을 펼쳤고요. 또 친여성향 인터넷 커뮤니티에 손편지를 남기고, 화상간담회를 갖는 등 지지층 결집에 사활을 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 이런 적극적인 모습이 지지층이나 중도층에 어필이 됐을까요?<br /><br /> 반면 오세훈 후보는 상대적 열세 지역인 서울 강북권 9개 지역을 훑는 강행군을 하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. 특히 2030 세대의 '정권 심판론' 여론이 강해졌다고 판단, 노원구 유세 때는 지난 7월 국회를 방문한 문 대통령에게 신발을 던진 정창옥 씨의 아들과 유세를 함께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요. 이런 오 후보의 전략이 효과를 봤을까요?<br /><br /> 오세훈 후보의 '내곡동 땅' 의혹은 유명브랜드 구두 논쟁으로까지 옮겨붙었습니다. 생태탕집 아들이 유명브랜드 구두를 봤다고 하자, 일부 친여성향 네티즌들이 당시 오 후보의 구두라며 증거 사진을 올렸고, 오 후보는 그게 국산 브랜드 구두라고 반박하는,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건데요. 어떻게 보고 계세요?<br /><br /> 부산지역 재·보궐 선거 표심의 향방도 궁금합니다. 민주당 김영춘 후보는 마지막으로 원내지도부와 한 표를 호소했고,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는 부산 전역을 돌며 유세를 펼쳤습니다. 하지만 마지막 TV 토론회까지도 서로에 대한 네거티브 공방으로 정책검증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분석이 많은데요. 깜깜이 선거기간, 부산 민심에 변화가 있었을까요?<br /><br /> 선거 후 정계 개편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 당장 내일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위원장직에서 물러나게 되는데, 선거 결과에 따라 야권 개편 방향이 달라지지 않겠습니까? 먼저 오세훈 후보가 승리하면, 아무래도 야권 재편에 속도가 붙겠죠?<br /><br /> 오 후보 승리 시 민주당은 지도부 총사퇴는 물론 전당대회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큰데요?<br /><br /> 반면 박영선 후보가 승리할 경우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 빼앗긴 정국 주도권을 되찾는다는 의미 외에도 이낙연 후보를 비롯한 대권 주자들에게도 큰 힘이 실릴 텐데요?<br /><br /> 야권의 경우 어떻습니까? 만일 이번에도 패하면 국민의힘은 선거 5연패가 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김성완 시사평론가, 이상일 전 국회의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